연구분야 목록
관련이미지

연구실 목록
연구실 명 | 지도교수 | 위치 | 세부 연구분야 |
---|---|---|---|
구조역학 연구실 | 이광주 | 공학1관 D103호 | 재료 물성 및 거동 평가, 경량 구조 설계 |
생산열공정 연구실 | 김승모 | 공학1관 A103호 | 컴퓨터 이용 해석(CAE), 반도체 공정설계 및 최적화 |
친환경재료가공 연구실 | 박성제 | 공학1관 A104호 | 나노셀룰로오스, 센서/정수시스템 |
스마트디자인 연구실 | 김병철 | 공학1관 D212호 | 컴퓨터 이용 설계(CAD), 인공지능 기반 설계 |
금형 및 재료가공 연구실 | 라문우 | 공학1관 A106B호 | 정밀금형 개반 나노-마이크로 성형 |
차세대재료 제조공정 연구실 | 유형민 | 공학1관 E208호 | 고분자 가공, 복합재료 제조 공정, 반도체 후공정 |
나노 하이브리드 재료 연구실 | 염상혁 | 1공학관 A105호 | 첨단 나노융합 재료, 모바일/자동차 재료 |
교육 목표 및 교과 운영 전략
목표 : 동역학 기반 미래 모빌리티에 대해 동역학 해석, 제어 설계, S/W implementation까지 모빌리티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역량강화
교과 운영 전략 : 역량강화 목표를 2개로 세분화 하여 교과 과정을 운영, 1) 모빌리티 시스템 설계 역량 강화 2) 모빌리티 지능화 역량강화

1) 모빌리티 시스템 설계 - Vehicle Motion Control
: 자율주행 기능 고도화를 위한 차량 거동 통합제어로직 개발
관련이미지

1) 모빌리티 시스템 설계 - 항공 모빌리티
: 동역학 등 기계공학 이론에 기반하여 기계시스템을 모델링하고 거동을 분석하며, 더 나아가 최신 제어이론 및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능형 기계시스템을 개발
관련이미지

2) 모빌리티 지능화 - Robotic perception / Mapping & Localization / Machine learning
관련이미지

연구실 목록
연구실 명 | 지도교수 | 위치 | 세부 연구분야 |
---|---|---|---|
정밀공학실험실 | 유승열 | 1공학관 D101호 | 로봇, 자동화, 인공지능 진단 |
차량시스템 및 제어 연구실 | 유승한 | 1공학관 D211호 | 차량운동모델링, 제어 및 고장 진단, 친환경 차 제어 |
공간지능연구실 | 박병재 | 1공학관 D213호 | 환경인식기술, 기계학습, 센서융합 |
지능형 무인이동체 연구실 | 이돈구 | 1공학관 E109호 | 무인이동체, 항공우주시스템 |
지능형 자율 X 이동체 제어 연구실 | 신동호 | 1공학관 D213호 | - 자율주행차 고장허용제어 및 환경인지센서 프로세싱 - UAM 및 드론 신경회로망 기반 고장 강건 제어 |
지능형차량제어 연구실 | 조완기 | 1공학관 D213호 | 차량샤시통합제어, 지능형차량제어 |
지능형 기계 및 항공우주 시스템 연구실 | 성열훈 | 1공학관 E110호 | 스마트기계, 항공우주시스템 |
1) 열에너지, 나노융합, 의료/헬스케어 디바이스
- 자동차, 전자제품, 산업기계, 발전분야 전반의 열 및 에너지 관리기술 개발
- 배터리, 연료전지 등 에너지 변환/저장 시스템의 해석/평가를 통한 열관리 솔루션 개발
- 첨단 반도체 제조장비 개발 및 운용을 위한 시스템 해석 및 설계 - 증착, 세정, CMP 등 반도체 주요 공정뿐만 아니라 반도체 폐가스 처리와 같은 다양한 반도체 장비 내 기류 및 열전달을 분석한다.
- 나노/바이오 융합기술 접목을 통한 의료기기 및 ICT 기반 헬스케어 디바이스 설계
-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응용 : 유동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난류, 열전달, 화학 반응 등의 여러 현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유체역학적 이론 연구와 더불어 배터리, 반도체, 제조공정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도 이러한 CFD 분석을 적용하여 실용적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으며, 생체 내부의 혈류 및 주요 혈관 질병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관련이미지
2) 차세대에너지 탄소중립/기후변화 대응
- 기후변화 이슈에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입자, 에어로졸 공학 및 대기환경, 탄소중립 및 기후적응 관련 소재 합성 공정 연구를 수행한다.
- 대기환경, 입자/에어로졸 공학 – 공기중에 부유하는 미세한 크기의 고체 입자인 에어로졸 입자의 생성, 이송, filtration 연구를 기반으로 대기 및 실내 공기의 오염물질을 분석하고 추적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에어로졸 입자가 생체, 조직에 주는 유해성을 연구한다.
- 에어로졸 기반 탄소중립/기후변화 대응 소재 합성 공정– 에어로졸 열 공정을 이용하여 기능성 나노입자를 합성하고, 이에 대한 광학, 화학,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응용하여 CO2 흡착, VOC 무해화 등 기후변화 적응 및 대기오염물질 무해화, 탄소나노튜브 제조 시 탄소 저감 연구를 수행한다.
관련이미지

연구실 목록
연구실 명 | 지도교수 | 위치 | 세부 연구분야 |
---|---|---|---|
나노환경역학 연구실 | 이정훈 | 공학1관 C406호 | 에어로졸공학, 대기환경, Black Carbon 입자 |
복합유체 연구실 | 박승경 | 공학1관 C404호 | 나노/바이오 융합연구, 의료/헬스케어 디바이스 |
에어로졸 공학 연구실 | 우창규 | 공학1관 D108호 | 실내공기 오염 저감 기술, 인체노출 영향 연구 |
입자열공정 연구실 | 채석병 | 공학1관 D109호 | 나노입자 합성 및 응용, 반도체 후공정 |
유체공학 연구실 | 유지호 | 공학1관 D312호 | 난류해석, 전산유체해석, 반도체공정 열유체 설계 |